본문 바로가기
information

MS 계정 말고 '내 계정'으로! 윈도우10 로컬 계정 변경, 3분 만에 끝내는 초간단 가이

by 11jdkjfkf 2025. 10. 31.
MS 계정 말고 '내 계정'으로! 윈도우10 로컬 계정 변경, 3분 만에 끝내는 초간단 가이
배너2 당겨주세요!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반응형

 

 

MS 계정 말고 '내 계정'으로! 윈도우10 로컬 계정 변경, 3분 만에 끝내는 초간단 가이

목차

  1. 로컬 계정으로 변경해야 하는 이유
  2. 윈도우10 로컬 계정 변경 준비 사항
  3.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에서 로컬 계정으로 변경하는 단계별 방법
    • '설정' 진입 및 '계정' 메뉴 찾기
    • 사용자 정보 및 계정 설정 변경
    • 로컬 계정 전환 및 새 정보 입력
    • 로그아웃 및 로컬 계정으로 로그인 확인
  4. 로컬 계정 사용 시의 장점과 유의사항

1. 로컬 계정으로 변경해야 하는 이유

윈도우10을 설치하거나 처음 사용할 때, 대부분의 사용자는 마이크로소프트(MS) 계정을 사용하여 로그인하도록 설정됩니다. MS 계정은 원드라이브(OneDrive) 동기화, 마이크로소프트 스토어 앱 구매, 오피스 365 연동 등 다양한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해주지만, 항상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어야 하고 MS 서버에 일부 데이터가 저장된다는 점에서 불편함이나 보안상의 우려를 느끼는 사용자도 있습니다.

로컬 계정은 이러한 클라우드 서비스와의 연결 없이, 오직 PC 자체 내에서만 사용자 정보와 설정을 관리하는 계정입니다. 즉, 인터넷 연결 없이도 PC에 접근할 수 있으며, MS 서버에 사용자 정보가 전송되는 것을 원치 않는 사용자에게는 훨씬 사생활 보호 측면에서 유리합니다. 또한, 네트워크 상태나 MS 서비스 점검과는 관계없이 항상 빠르고 안정적인 로그인 환경을 제공합니다. 따라서 'MS 계정의 부가 기능은 필요 없고, 오직 빠르고 단순하게 내 PC를 사용하고 싶다'는 사용자라면 로컬 계정으로 변경하는 것이 현명한 선택일 수 있습니다. 특히 여러 사람이 사용하는 공용 PC의 경우, 개인 정보 보호를 위해 로컬 계정을 선호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2. 윈도우10 로컬 계정 변경 준비 사항

로컬 계정으로의 전환은 비교적 간단한 과정이지만, 원활한 진행을 위해 몇 가지 준비 사항을 확인해야 합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현재 사용 중인 계정이 '관리자 계정'이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일반 사용자 계정으로는 계정 유형을 변경하거나 로컬 계정을 새로 만들 수 없습니다. 보통 윈도우를 처음 설치할 때 생성한 계정은 관리자 권한을 가지지만, 혹시 모를 경우 '설정(Settings)' $\rightarrow$ '계정(Accounts)' $\rightarrow$ '사용자 정보(Your info)'에서 현재 계정 이름 아래에 '관리자(Administrator)'라고 표시되어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만약 일반 사용자 계정이라면, 관리자 권한을 가진 다른 계정으로 로그인하여 변경 작업을 진행해야 합니다.

또한, 로컬 계정으로 전환할 때 사용할 '새 사용자 이름'과 '암호'를 미리 생각해 두는 것이 좋습니다. 암호는 PC 보안의 핵심이므로, 쉽게 추측할 수 없는 강력한 암호로 설정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암호를 잊어버릴 경우를 대비하여 암호 힌트도 설정하게 되니, 이 힌트 또한 미리 구상해 두면 좋습니다. MS 계정에서 로컬 계정으로 전환한다고 해도 기존에 저장되어 있던 파일이나 설정은 대부분 그대로 유지되지만, 만약을 대비하여 중요한 문서나 파일은 외장 하드 드라이브나 USB에 백업해 두는 것도 좋은 습관입니다.

3.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에서 로컬 계정으로 변경하는 단계별 방법

로컬 계정으로의 전환은 윈도우 '설정' 앱 내에서 몇 번의 클릭과 정보 입력만으로 쉽고 빠르게 완료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각 단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합니다.

'설정' 진입 및 '계정' 메뉴 찾기

가장 먼저 윈도우 '설정(Settings)' 앱을 열어야 합니다. 가장 빠른 방법은 키보드에서 Windows 키I 키를 동시에 누르는 것입니다. 또는 윈도우 시작 버튼($\text{Start}$)을 클릭하고 톱니바퀴 모양의 '설정' 아이콘을 클릭하여 진입할 수도 있습니다. 설정 창이 열리면 다양한 메뉴 중 '계정(Accounts)' 항목을 찾아 클릭합니다. 이 메뉴에서는 사용자 정보, 로그인 옵션, 기타 가족 및 다른 사용자 계정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 정보 및 계정 설정 변경

'계정' 메뉴로 들어오면 왼쪽 목록에서 기본적으로 '사용자 정보(Your info)'가 선택되어 있을 것입니다. 이 화면에는 현재 로그인된 사용자 이름, 프로필 사진, 그리고 현재 계정 유형(Microsoft 계정) 정보가 표시됩니다. 여기서 프로필 사진 아래를 보면 '대신 로컬 계정으로 로그인(Sign in with a local account instead)'이라는 파란색 하이퍼링크 문구가 보일 것입니다. 이 문구가 바로 로컬 계정으로 전환하기 위한 핵심 버튼입니다. 이 버튼을 클릭하면 전환 절차가 시작됩니다.

로컬 계정 전환 및 새 정보 입력

'대신 로컬 계정으로 로그인'을 클릭하면, 윈도우는 전환 전에 현재 MS 계정의 암호를 확인하는 보안 절차를 거칩니다. 이는 본인 확인을 위한 것이므로, 현재 사용 중인 MS 계정의 암호를 정확히 입력하고 '다음'을 클릭합니다. 암호가 확인되면, 새로운 로컬 계정의 정보를 설정하는 창이 나타납니다.

이 창에는 다음 세 가지 항목을 필수로 입력해야 합니다:

  1. 사용자 이름(User name): 로컬 계정으로 사용할 새 이름을 입력합니다. 이 이름이 앞으로 윈도우 시작 메뉴나 로그인 화면에 표시됩니다.
  2. 암호(Password): 로컬 계정에 사용할 새로운 암호를 설정합니다. MS 계정과 동일하게 설정할 필요는 없으며, PC에만 적용되는 암호입니다.
  3. 암호 확인(Confirm password): 위에서 입력한 암호를 오타 없이 다시 한 번 입력합니다.
  4. 암호 힌트(Password hint): 암호를 잊어버렸을 때 기억을 돕기 위한 힌트를 입력합니다. 보안을 위해 힌트만으로는 암호를 쉽게 추측할 수 없도록 설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모든 정보를 입력한 후 '다음'을 클릭하면, 윈도우는 '로컬 계정으로 전환'을 위한 최종 확인 창을 띄웁니다. 이 창에서 '로그아웃 및 마침(Sign out and finish)' 버튼을 클릭하면 즉시 현재 세션이 종료되고 로컬 계정으로 전환이 완료됩니다.

로그아웃 및 로컬 계정으로 로그인 확인

'로그아웃 및 마침'을 클릭하면 윈도우는 자동으로 현재 세션에서 로그아웃됩니다. 잠시 후 나타나는 로그인 화면에서 방금 설정한 '새 사용자 이름'이 표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제 설정한 로컬 계정 암호를 입력하여 로그인합니다. 로그인이 성공적으로 완료되면, 윈도우 설정의 '계정' $\rightarrow$ '사용자 정보' 화면에서 더 이상 MS 계정 정보가 표시되지 않고 '로컬 계정, 관리자'와 같은 정보가 나타나는 것을 통해 로컬 계정으로의 전환이 완벽하게 이루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제부터는 MS 계정 없이 오직 이 로컬 정보만으로 PC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4. 로컬 계정 사용 시의 장점과 유의사항

로컬 계정을 사용하면 가장 명확한 장점은 개인 정보 보호 및 보안 강화입니다. 사용자의 활동 기록이나 설정이 MS 서버와 동기화되지 않으므로, 데이터 유출 가능성이 낮아집니다. 또한, 인터넷 연결 상태나 MS 서비스 상태에 영향을 받지 않아 로그인 속도가 빠르고 안정적입니다. 공용 컴퓨터나 여러 사람이 사용하는 환경에서는 개인 계정 정보가 노출될 우려가 없어 관리가 용이합니다.

그러나 로컬 계정을 사용할 때는 몇 가지 유의사항이 있습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암호 관리입니다. MS 계정은 암호를 잊어버렸을 경우 이메일이나 전화번호를 통해 쉽게 암호를 재설정할 수 있지만, 로컬 계정은 암호를 잊어버리면 PC에 저장된 데이터에 접근할 방법이 매우 제한적입니다. 윈도우10의 경우 '암호 힌트'를 제공하지만, 힌트로도 기억나지 않는다면 윈도우를 재설치해야 하거나 복잡한 복구 과정을 거쳐야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반드시 강력하면서도 잊어버리지 않을 암호를 설정하고, 필요하다면 암호 재설정 디스크를 미리 만들어 두는 것을 권장합니다. 또한, 원드라이브를 통한 파일 자동 백업이나 MS 스토어 앱 구매 기록 동기화 등 MS 계정 기반의 클라우드 서비스는 사용할 수 없게 되므로, 이러한 기능이 필요하다면 수동으로 파일을 백업하는 등 다른 방법을 찾아야 합니다.

 

더 자세한 참고자료는 아래를 참고하세요.

 

더 자세한 참고자료 보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