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nformation

한글 글자수 세기 단축키: 빠르고 쉬운 방법 익히기

by 11jdkjfkf 2024. 5. 14.
반응형

한글 글자수 세기 단축키: 빠르고 쉬운 방법 익히기

 

 

 

목차

서론

레포트 작성, 논문 작성, 혹은 단순히 글 길이 확인까지, 우리는 다양한 상황에서 글자수를 확인해야 하는 필요가 있습니다. 한글에서 글자수를 세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그 중에서도 가장 빠르고 쉬운 방법은 바로 단축키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이 글에서는 한글에서 글자수를 세는 데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단축키와, 각 단축키의 사용법, 그리고 상황별 활용 방법 등을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단축키 사용법

Ctrl + Q, I

가장 기본적인 글자수 확인 단축키는 바로 Ctrl + Q, I입니다. 이 단축키를 누르면 문서 정보 창이 뜨는데, 여기에는 문서 통계 탭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문서 통계 탭에서 페이지, 단어, 문자, 바이트 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팁: Ctrl + Q를 누른 후 I 키를 누르기 전에 잠시 기다려보세요. 문서 정보 창이 바로 뜨지 않고 빠른 메뉴가 뜨는 경우가 있는데, 이 때 방향키를 사용하여 문서 정보를 선택한 후 Enter 키를 누르면 됩니다.

상황별 단축키 활용

특정 영역의 글자수만 세고 싶은 경우, Shift 키를 함께 사용하면 됩니다.

  • Shift + Ctrl + Q, I: 선택한 영역의 글자수만 확인
  • Ctrl + Shift + C: 선택한 영역의 문자 수만 확인 (공백 제외)

문서 정보 활용

만약 단축키 사용이 불편하거나, 더욱 자세한 정보가 필요하다면 문서 정보 기능을 활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1. 파일 메뉴 > 문서 정보를 선택합니다.
  2. 문서 통계 탭에서 페이지, 단어, 문자, 바이트 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3. 자세히 버튼을 클릭하면 문서 통계 탭에 더욱 자세한 정보가 표시됩니다.

마무리

이처럼 한글에서 글자수를 세는 방법은 단축키와 문서 정보 기능을 활용하면 매우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상황에 맞는 방법을 선택하여 필요한 글자수를 빠르고 쉽게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추가적으로

  • 글자수 제한이 있는 곳에 글을 작성하는 경우에는 작성하면서 실시간으로 글자수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 상태 표시줄글자수 옵션을 추가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상태 표시줄에 글자수 옵션 추가하기:
      1. 도구 메뉴 > 옵션을 선택합니다.
      2. 상태 표시줄 탭에서 글자수 옵션을 선택합니다.
      3. 확인 버튼을 클릭합니다.
  • 한글 외 다른 언어로 작성된 글자수도 확인하고 싶다면 문서 정보 기능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문서 정보 창에서 언어 드롭다운 메뉴를 사용하여 원하는 언어를 선택하면 해당 언어 기준의 글자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더 자세한 참고자료는 아래를 참고하세요.

 

더 자세한 참고자료 보기

 

 

 

반응형